본문 바로가기
Books, Movies/번역

'한편' 의 번역으로 on the other hand 와 meanwhile 중 어느 것?

by 구봉환 2025. 7. 15.

'한편' 의 번역으로 on the other hand 와 meanwhile 중 어느 것이 더 적당한가?  그리고 'Not extremely trivial' 이 상당히 비중이 있다 라는 의미를 강조한다?

 

 두 단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사용법에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 On the other hand: 논리적으로 대조되는 두 가지 개념이나 의견을 제시할 때 사용합니다. "A라는 측면이 있지만, 반면에 B라는 측면도 있다"는 맥락에 완벽히 들어맞습니다. 법률 문서에서는 특정 원칙이나 규칙을 설명한 뒤, 그와 상반되거나 예외적인 경우를 제시할 때 흔히 사용됩니다.
  • Meanwhile: 주로 시간의 경과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A가 일어나는 동안, 그와 동시에 B가 일어났다"와 같은 맥락입니다.

 한글 문장에서 '한편'이  'A 라는 원칙'과 'B 라는 특수한 상황'을 대조하고 있다면 "on the other hand"를 사용하는 것이 문맥상 의미를 가장 정확하게 전달합니다. 

 

 

 다음으로는 'Not extremely trivial'이 '극히 사소하지만은 않은'이라는 이중 부정의 뉘앙스를 지니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법률 문서나 논리적 판단을 다루는 글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표현이 의도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어떤 대상이 단순히 '사소하지 않다'는 것을 넘어, '사소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는 판단의 근거와 함께 그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undisclosed] process"가 '매우 사소하거나 간단하다고는 볼 수 없다'는 의미로, 곧 '중요하고 복잡한 과정이다'라는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 적합합니다. 이는 판결의 논리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므로, 법률적 맥락에서는 매우 자연스럽고 효과적인 표현입니다.

 

 

 

'we find no error that materially affected the conclusion' 문구에 대

'we'의 의미
이 문맥에서 'we'는 법원의 판사(들)을 지칭합니다. 법원 판결문이나 공식 문서에서는 판사가 개인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법원이라는 기관을 대표하여 판단을 내리기 때문에 'I(나)' 대신 'we(우리)'를 사용합니다. 이는 판단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강조하는 법률 문서의 전통적인 관행입니다.

'materially affected'의 의미
'materially affected'는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의미로, 법률 용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단순히 'affected the conclusion'(결론에 영향을 미쳤다)라고만 하면, 사소한 오류라도 영향을 미치기만 하면 문제가 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법률에서는 모든 오류가 판결을 뒤집을 만큼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materially affected'는 오류가 판결의 결론을 실질적으로 또는 중대하게 바꿀 만큼 중요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사소한 오류는 있었을지 모르지만, 그 오류가 판결의 핵심적인 결론을 바꿀 만큼 중대한 것은 아니었다'는 점을 명확히 합니다.

이는 법원이 항소심에서 원심의 판결을 그대로 유지하는 중요한 논리적 근거가 됩니다. 항소인이 제기한 주장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그 오류가 판결 전체를 무효로 할 만큼 심각하지는 않다는 점을 명확히 밝히는 것이죠.